러브버그의 출몰과 대응 방법
지난해 여름 서울 은평구와 경기 고양시 등 북한산 주변에서 기승을 부렸던 '러브버그'가 최근 서울 곳곳에 출몰하면서 불편을 호소하는 시민들이 늘고 있습니다. 러브버그가 무엇인지, 그리고 러브버그가 출모 했을 때 어떻게 대응할 수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러브버그란 무엇인가?
러브버그의 정식 명칭은 파리목 털파리과 '붉은등우단털파리'로 중국 남부 지역이나 일본 오키나와 등지에 주로 서식합니다. 다른 털파리과 곤충과 마찬가지로 보통 암수가 쌍으로 다녀 '러브버그'라고 불립니다.
러브버그의 확산과 영향
25일 서울시 등에 따르면 전문가들은 지난해 서울 은평구와 북한산을 중심으로 대거 나타난 러브버그가 주변 지역으로 서서히 퍼져나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러브버그는 생존력이 뛰어나 도심에서도 쉽게 번식하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민원 때문에 영등포구와 성동구 등 일부 지자체에서는 러브버그의 특징과 대체방법을 소개하는 안내문을 홈페이지에 개시했습니다.
전문가들은 러브버그가 사람에게 직접적인 해를 미치지 않고 오히려 환경 정화에 도움이 되는 익충(益蟲)이라며 무차별적인 방충 작업이 부작용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낙엽이 많이 쌓인 곳에 살면서 러브버그의 애벌레는 토양을 비옥하게 하며, 성충도 화분을 매개하는 역할을 하여 익충에 속한다고 합니다.
사람 입장에서는 해충으로 보일 수도 있지만 생태계 전반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감안하면 무차별적 방충이 오히려 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러브버그 예방과 대응 방법
지난해에는 7월 초부터 러브버그가 나타났지만 올해는 예년보다 덥고 습한 날씨 때문에 2~3주 앞당겨진 6월 중순부터 출몰하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러브버그가 미리 집안으로 들어오지 않도록 예방하기 위해 방충망의 빈 공간을 막아둘 것을 조언합니다. 문틈과 창틀 물구멍 등을 막아 실내 유입을 막을 수 있습니다. 더불어 러브버그는 살충제에 약하기 때문에 방충망에 출입구 부근 벽 등에 구강 청결제 3스푼과 오렌지 또는 레몬즙을 섞은 물을 뿌려두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또 러브버그는 자외선을 좋아하여 자외선을 차단한 가로등을 설치하거나 창문트에 끈끈이 등을 설치하면 효과적일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조언합니다.
관련 글:
2023.06.12 - [분류 전체보기] - 나방파리, 날파리 퇴치 방법과 예방법 | 화장실에서 벌레로 인한 불쾌감을 해결하자
나방파리, 날파리 퇴치 방법과 예방법 | 화장실에서 벌레로 인한 불쾌감을 해결하자
날이 더워지고 습해지면 화장실에서 종종 등장하는 나방파리, 날파리 때문에 고민이시죠? 화장실이나 주방에 등장하는 이 벌레의 정체 대해 알아보고, 효과적인 퇴치 방법과 예방법을 소개합니
health.livenineone.com
댓글